11월 3일 FOMC 상황 별 주식 시나리오
오는 3일 새벽 3시경 FOCM가 정례회의 시나리오를 적어보았습니다. 지극히 저의 주관적인 생각이니 큰 오해가 없기를 바랍니다. 정례회의 이후 새벽 3시 30분부터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도 진행됩니다. 그럼 저의 시나리오를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FOMC 회의 일정보기
1. 기준금리 인상 및 자이언트 스탭
이번 FOMC에서 기준금리는 70b 인상은 거의 확정적이라고 봐도 됩니다. 그럼 기준금리는 3.75% ~ 4.00%가 됩니다. 최종 목표 금리를 더 높이고, 향후에도 자이언트 스탭을 유지해야 한다라는 강성 발언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최근 강한 반등을 해온 섹터(지수주+알파)들을 중심으로 강한 매도 압력에 직면하며 코스피와 코스닥은 전 최저점까지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최근 반등률이 소폭인 만큼 떨어져 봐야 얼마 안 빠질 수 돼있습니다. 그럼 다르게 생각하면 코스피 기준 최저점인 2134포인트 이하도 각오해야 합니다. 그러나 외국계 헤지펀드사나 기관들이 그 이하로 뺄 것인가 인데, 공매도 금지 등 각종 조치가 나오는 거을 막기 위해서 지수 자체를 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2. 최종 금리 목표 높이고 긴축 속도 완화
최종 금리 목표를 높이고(5.5% 이내), 대신에 긴축 속도를 완화합니다.(미니 피봇) 즉, 12월부터 빅 스텝을 내년 베이비 스태프로 단계를 낮추는 방식을 한다면, 일단 점진적 상승이 나올 것으로 판단되며, 성장주+중소형주들이 좀 더 우위일 수 있을 듯싶습니다.(바이오텍, 인터넷, 신재생에너지 등) 다만, 반등하는 데 있어서 제한이 될 듯싶습니다.
3. 최종 목표금리 조정 없이 또는 긴축 속도 조절 완화
최종 목표금리를 5.00% 수준까지만 올리고, 긴축 속도를 조절하여 완화시키는 건데, 이러면 단기적으로 강한 랠리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성장주, 민감주 등 개의치 않고 상승할 수 있으며, 성장주+중소형주들이 더 강한 상승기류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마무리
현재로선 2번 안이 가장 유력해 보이며, 시장은 2번 안이 나올 거라 기대하고 최근 반등해왔고, 금일 성장주들의 반등이 이를 뒷받침하는 움직임을 보여줬습니다. 이상 FOMC 주식 시나리오를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골도르의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킹통장 금리비교 총정리! (0) | 2022.12.16 |
---|---|
저신용, 저소득 서민근로자 햇살론 대출(신용등급 5등급 대출) (0) | 2022.11.03 |
소상공인 카드수수료 현금환급금 조회 바로가기(하반기 1인 30만원 환급) (0) | 2022.10.30 |
원달러 환율 전망 및 IMF 외환위기보다 심각한 경제위기 (0) | 2022.10.19 |
가상화폐 거래소 2차 인증 수단 구글 OTP 설치 및 등록 방법 (0) | 2022.10.18 |
댓글